청년 취업과 창업

취업 준비생 네트워킹 방법

topman 2025. 10. 3. 14:38
반응형

1. 왜 요즘 더 네트워킹이 중요한가?

  • 구직 방식이 “지원 → 기다림” 모델에서 “관계 기반 발굴 모델”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 Ask recruiters, referrals, 소개를 통해 일자리 기회를 얻는 비율이 더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 실제로 많은 조사에서 77% 이상 채용 담당자가 LinkedIn 등 네트워크를 통해 후보자를 찾는다고 응답했습니다. 
  • 또한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말하길, 네트워킹은 단순한 정보 획득을 넘어 신뢰와 추천의 허브가 되므로 “누구 아는가”가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는 평가입니다.

즉, 스펙만 갖추는 것보다 관계 + 노출이 겹쳐야 경쟁력이 생깁니다.

취업 준비생 네트워킹 방법
pixabay(photo by purplegillian )

2. 네트워킹 기본 전략: 오프라인 + 온라인 균형 잡기

▶ 오프라인 전략

  1. 산업 행사 / 세미나 / 컨퍼런스 참여
     관심 분야 행사에 참석해 강연자·참가자와 인사하고 명함/연락처 교환하기.
  2. 멘토 초청 미팅 / 인포메이셔널 인터뷰
     선배나 전문가에게 허락을 구해 ‘커피 미팅’ 또는 ‘질문 20분’ 시간을 요청하는 방식입니다.
        (이것을 인포메이셔널 인터뷰라 부릅니다)
  3. 소모임 / 스터디 그룹 / 동아리 활동
     작은 그룹에서 관계 깊이를 쌓으면 이후 인맥 확장에도 도움이 됩니다.
  4. 교내 동문 네트워킹 / 학과 행사 활용
     출신 학교 동문·교수·선배 연결은 흔히 간과되는 채널입니다.

▶ 온라인 전략

  1. LinkedIn 프로필 정비 & 활발한 활동
     프로필을 전문적으로 꾸미고, 본인의 학습 기록·프로젝트·인사이트를 게시하며 꾸준히 소통하는 것이 중요해요. 
  2. 관심 분야 그룹·커뮤니티 참여
     Slack, Discord, 전문 커뮤니티, 페이스북 그룹 등에서 질문/답글로 가치를 제공하면 자연스럽게 관계가 생깁니다.
  3. 키워드 기반 콘텐츠 공유 / 브랜딩
     관심 있는 분야의 인사이트·사례·분석을 짧게 정리한 콘텐츠를 공유하면 해당 분야 네트워크에 노출이 됩니다.
  4. 콜드 아웃리치(Contact Outreach)
     관심 있는 전문가에게 이메일/DM을 보내더라도, 간략한 인사+질문 중심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더 효과적이라는 조언이 많습니다. 

3. 네트워킹의 마음가짐 & 스킬

✅ ‘호기심 중심’ 접근

자기 소개 중심이 아니라 “이 사람을 통해 배우고 싶은 것” 중심의 질문과 관심이 진정성 네트워킹을 만듭니다. 

✅ 관계 중심 전략

네트워킹은 거래가 아니라 관계 형성입니다. 단기 이익보다 장기 신뢰를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일관성 + 존재감 유지

한 번 만나는 게 아니라, 정기적으로 메시지를 보내거나 피드백을 전하는 식으로 관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 질 > 양

많은 사람과 겉 인사만 하는 네트워킹보다는, 적더라도 진득한 관계를 만드는 것이 더 오래갑니다.

4. 실전 네트워킹 팁 10가지

팁 구체 방법

엘리베이터 피치 준비 30초 내 관심 분야 + 강점 + 질문 포함된 간단한 소개를 연습해 두세요.
대화 도입 질문 준비 “최근 이 분야 뉴스 보셨나요?”, “이번 행사 중 가장 인상 깊었던 강연은요?” 같은 질문이 유용해요.
듣기 중심 태도 먼저 상대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다음 질문으로 이어가면 기억에 남는 대화가 됩니다.
상호 가치 연결 제시 당신이 가진 정보·관심·추천 등을 나누는 태도를 보이면 관계가 쌍방향이 됩니다.
후속 관리 루틴 만난 지 2~3일 내 감사 메일 또는 메시지, 이후 정기 체크인 일정 만들기.
공통 관심사 중심의 접점 탐색 프로젝트, 뉴스, 업계 동향 등 관심사를 매개로 대화 시작하기.
작은 이벤트 주최해보기 스터디 토크, 간담회, 관심 주제 토론 모임 등을 작게 조직해 네트워크 허브 역할을 해보세요.
멘토 / 실무자에게 배우기 "한 가지 조언 부탁드려도 될까요?" 정도의 짧은 요청이 부담이 덜하면서 유용합니다.
SNS 태그/멘션 활용 게시물에서 언급하고 싶은 사람을 태그하거나 피드백 요청 멘션으로 노출을 늘릴 수 있습니다.
감정 노출 + 진솔함 취업 준비의 고민·불안도 솔직히 나누면 경청을 이끌어내는 연결점이 됩니다.

 

5. 사례 중심 이야기, 작은 연결이 큰 기회로

예를 들어, A 씨는 원하는 스타트업 분야의 변호사 컨퍼런스에 참석해 강연자에게 “OO 기술이 기업 법무에 미치는 영향” 질문을 했고, 이후 메일로 그 질문 + 본인의 논문 시점 정리본을 보냈습니다.
그 연결이 이어져 해당 기업 내부 직원 소개 → 면접 유도 → 최종 합격까지 이어졌던 사례도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 B 양은 LinkedIn에 자신이 작성한 업계 인사이트 글을 게시하고, 그 게시물에 피드백을 준 사람과 DM으로 “함께 커피챗”을 제안해 멘토를 얻었다는 후기가 많습니다.

 

네트워킹은 한 번의 이벤트보다 작은 연결의 누적이 중요한 게임입니다.
오늘 한 명에게 “이야기 나눠도 될까요?”라는 메시지를 보내보세요.
그 시작이 당신의 커리어 선로 하나를 열어줄 수 있습니다.

 

반응형